• 프레임
    심리학에 대해서 일반인이 가장 읽기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게 쓴 책이라는 생각.
    가볍게 읽기 좋다. 그러나 스키너의 심리 상자 랄지, 유쾌한 심리학 이랄지 등등 심리학 서적들을 계속 읽어 왔다거나 심리학 베이스의 사람이라면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는 내용들이 좀 있을듯.
    그래도 "프레임"에 focusing하여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건 나이스.

  • 생각의 탄생
    "이거다" 했고, 받고 나서도 기대감에 가득. 뭐랄까 잡학다식을 쌓기에 훌륭. but 깊이는 기대보다 약간 떨어진다. 그렇지만 그런맛도 나쁘지 않다. 유명인들의 일화들도 섞어서 다양한 이야기거리들을 가볍게 접하기에 딱 좋다는 생각. 개인적으로는 좋아한다.
    한가한 오후에 고양이 안고서 뒤적거리며 보기에 딱 좋은 책이라는 생각
    (무거워서 들고다니며 읽기는 좀 힘들다)

  • 파피용
    간만에 나온 베르나르 베르베르 신작.
    나온 줄 모르고 있다가 파주 북카페에서 우연히 발견하여 주저없이 집어든 책.
    "뇌"류는 아니지만 베르베르의 상상력은 여전하다. 쭉 읽지 않으면 좀 흐름이 끊긴다.
    표지의 "나비"디자인이나 책속의 "나비"모티프 마음에 든다.
    개인적으로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이전 작품들에 비해 조금 색다르다는 생각.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기 때문에.

  • 특이점이 온다
    올 초 알게 되서 도서관에서 빌렸다가 두께에 압도당한 책. 한달동안 도저히 다 읽지 못하고 반납.
    이번에 다시 손에 넣게 된 책. 꽂아놓는 것만으로 든든하다.
    틈틈이 볼 생각.

  • 통섭
    세번째 접한.
    처음 나왔을땐 번역이 별로라 하여 skip, 두번째는 주변의 추천, 이번엔 이번학기 학교서 듣는 "복잡계 특강"수업의 필독도서라.
    찬반이 만만찮던데 함 읽어보고 판단하리라.
    역시 기대된다. 책 읽기전 이런 기대감이 좋더라

Posted by JulieNJulia
:

 
    • Google Director of Research(Google Research) 인 Peter Norvig과의 인터뷰 원문
      인터뷰 원문이 훨씬 흥미롭다
      인상깊은 구절..
    I think another focus is to understand how people interact with Googl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on the Web, in general. How do people operate in these social networks? Understanding that question can help us serve them better.
        200% 동감하고 싶은 내용이다. 검색을 하면서 내가 인지과학을, 그리고 HCI를 공부하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  

월요일 휴가 였는데 이런 자리가 있었네. 휴가가 아니였다면 다녀오면 좋았을..  
  관련1) 개최자인 JMIRROR(
http://www.joonj.com)’님의    블로거 토론회 후기         
         2) 
블로거 토론회_0716_19_28


생각해 보니 비슷한 시기에 검색의 미래와 다음 세대 검색을 논하는 포스팅들..

(하나더 추가)
Posted by JulieNJulia
:
이정모 교수님이 정리하신 인지과학 링크들

1. 인지과학 개론 pdf file: http://cogpsy.skku.ac.kr/200608-cogsci-인지과학.pdf

2. 인지과학 논문 모음 사이트: http://cogpsy.skku.ac.kr/otherallpaper.htm

3. 인지과학-인지심리학 소식 웹진:

         http://www.infomail.co.kr/bzmain/?ifm_id=6571&sendpage_id=#

4. 인지과학 학생회 카페: http://cafe.daum.net/cogsci

5. 로보틱스와 인지과학: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db=robotics

6. 블로그 (Google 검색): http://korcogsci.blogspot.com/

7. 블로그 (Naver 검색): http://blog.naver.com/metapsy
8. 융합과학기술과 인지과학:
    (a). 융합과학기술 개발과 인지과학: (KISTEP;주간과학기술동향, 심층분석.Science &Technology Focus, 제32호, 1-11; 250번) -;

 http://cogpsy.skku.ac.kr/psychology_ellipsoid/융합과학기술%20개발과%20인지과학.htm
     (b). 2005. 과학사상 게제글;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

 http://cogpsy.skku.ac.kr/data/data/05-0625과학사상.htm
     (c) 2003. 한국인지과학회 심포지움 글; 융합과학-인지과학-학습과학: 그 연결의 개념적 틀과 응용적 의의;- ;

 http://cogpsy.skku.ac.kr/psychology_ellipsoid/융합과학-인지과학-학습과학.htm
      (d) 2005. 한국인지과학회 토론 ppt: -;

 http://cogpsy.skku.ac.kr/data/data/2005/05-0528-인지과학토론종합.ppt

Posted by JulieNJulia
:
  • 인지과학이란 무엇인가
    인지과학에 대해 이정모 교수님이 잘 정리해 놓으신 글
  • [재밌어 보이는 책] 프레임: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그렇잖아도 몇번 눈에 걸렸는데 책소개 읽어보니 반드시 읽어보고 싶어진 책
Posted by JulieNJulia
:
인지과학을 공부할수록

1. 얼마나 인간이 비합리적인지
   예를 들면, 제한된 인지적 용량- 메모리의 한계 때문에 머릿속에 올려진 것, 눈에 띄인 것, 항상 보이는 것에만 주의를 쉽게 빼앗길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지금 꽂힌것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는 자각. 또 그래서 메모를 하고 새겨 두어야 할 것은 항상 눈에 띄게 주변에 두어야 한다는 것등등에 응용.. 사실 이전까지는 난 꽂힌것, 그리고 마음에 들었다는 것에 비중을 높게 두는 편이었다 어쩌면 질풍노도의 시기여서일 수도 있고 ㅋ 이제는 인지적 오류나 얼마나 마음이 속기 쉬운지등을 알게 되고 내 문제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고..)

그리고

2. 사람의 눈과 머리만한 인지적 능려과 통계가 없다는 것.  
   그건 자연어처리일 할때도 느끼긴 했지만, 질적 연구 방법에서도 어떤 무의미한 context에서 유의미한 context를 뽑아내는 것처럼.    그렇게 뭐라 정의할 수 없는 그래서 아직 기계가 인간을 따라오기 어렵게 밝혀지지 않은 사람의 비상한 능력들.  

이와 같은 그렇게 양 극단을 점점 깊숙이 알아가게 되는 것 같다.
Posted by JulieNJulia
:
화가 나는데 참거나 웃고 싶은데 참는 것, 또는 웃어야 하는 것과 같은 정서조절(self-regulation)이 인지적 자원을 소모한다는 실험들이 있다.

잔인한 영화를 보여주고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지 말라고 한후 인지적 과제 테스트(예를 들어, 애나그램처럼 제시된 단어의 철자들로 구성된 다른 단어 조합을 최대한 만들어 내거나 손에 무언가를 꼭 쥐고 견딜만큼 견디기 등)를 수행하면 감정을 참아야 했던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과제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는 굶고 오라 하고 맛있는 냄새를 풍긴 다음 쵸콜릿을 준 집단과 무를 준 집단을 비교해 봐도 역시 마찬가지.

음. 어떻게 보면 그냥 기분이 나빠져서 열심히 하기 싫어진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정서조절로써 설명하는 것도 재미있는 설명인듯.

어찌 되었든, 그저 감정을 많이 조절하는 것 자체가 인지적 자원을 소모한다는 사실.

적당히 속편하게 살아주자고 생각하면 너무 끼워맞추는 겐가? ;)

아 또하나, passive-option effect 라는 것도 있단다.
사람들은 능동적 선택보다 수동적 선택을 선호한다는 이론. 예를 들어 Tv를 보다가 끌때손을 뻗쳐 눌러서 끄는 것이 버튼에 손을 대고 있다가 손만 띠면 꺼지는 경우보다 보기 싫은 것을 더 오래 참는다나
관련해서 광고같은데서 많이 써먹는다던데
참고 http://www.psy.fsu.edu/~baumeistertice/baumeisteretal1998.pdf

가끔 나의 게으름을 탓하는데 사람의 본성이라니 약간 위안이 되기도.

Posted by JulieNJulia
:
일부 사회학자들은 충동을 억제하고 보상을 늦출 줄 아는 능력이 사회적 지위상승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된 <마시멜로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미국의 한 사회학자가 유치원생 아이들에게 달콤한 마시멜로 사탕을 당장 1개를 받을 것인가, 몇 시간 후에 더 많이 받을 것인가를 선택하도록 한 결과, 참았다가 더 큰 보상을 받은 아이들이 나중에 수학능력평가(SAT)에서 높은 성적을 받았다는 것이다.

from 중산층 어린이가 인지능력 높아
인지능력보다는 참는게 사회적 지위상승과 강한 연결관계가 있나 보네.
음. 사회적 지위상승과는 거리가 멀어보지도.. 짭
Posted by JulieNJulia
:
인지과학에 미래 달렸다

이런 기사가 실렸네.

이정모 교수님이 오래전부터 해오신 말씀이지만 상황은 비슷한 듯.

조금씩 관심이나 인지도는 나아지고 있지만
아직은 상황이 각 분야에서 좁게 접근하는 수준이고 여전히 통합적이나 융합적 시각은 교양정도의 수준인 것 같다 우리나라는.

좋아하고 있고, 공부하고 있는 입장에서 기분 좋은 기사이긴 하지만 말이지.
근래 관심이 몰리고 있기도 하니, 계속 나아지겠지 그리고 그 발전에 나도 힘을 보태고 싶은 희망.
인지과학이 학부에서 우선 교양필수가 되야 한다고 난 생각하거든.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통합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고, 무엇보다 인간적인 학문이라고 생각하기에.
인간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뺀 기술이 의미가 없듯, 결국은 사람이니까.

Posted by JulieNJulia
:

<이터널 선샤인> 작가의 또 다른 영화라 하여 찍어놓았던 영화, <수면의 과학>을 드디어 보다.

특이하다는, 그리고 <이터널 선샤인>만은 못하다는 평을 얼핏 듣고 기대를 낮추고 봐서 그런가.
"재미있었다"
엉뚱한 상상력 가득.  때로는 오~ 싶은 것도 있고, 때로는 기가막힌 웃음이 나오는 것도 있는데,
자유로운 상상력덕에 약간은 유치하다 싶은 것도 맘좋게 패스되는.



영화를  보고 든 생각.
1. 이 감독,    전공이 인지과학이거나 또는 뇌과학인게 아닐까.
   아니면 프랑스에서는 혹시 인지과학이나 뇌과학이 대세인건 아닐까? --V

2. 현실과 꿈이 뒤섞이느라 상당시간 자고 있는 주인공을 보며, 자고 싶다--; 그리고  저렇게 상상력 가득한 재미있는 꿈을 꾸고 싶다.

3. 자유롭게 상상하고, 꿈꾸고 싶어졌다. 아이처럼.

4. 손으로 무언가 만들고 싶어졌다. (손을 움직이면 머리도 좋아진다 했던가--; )
   생각해 보니 내가 손으로 하는 일이란 대부분 키보드 치는 것뿐이라는.

창의적이게 만들어 주는, 아니 창의적이고 싶은 욕구를 불어넣는 영화라고나 할까.

영화제목에 "과학"은 왜 들어갔나 싶었더니,
간간이 섞이는 뇌얘기에, 카오스 이론, 빅뱅이론에다 랜덤 까지 튀어나온다. 물론 그저 언급되는 정도지만 (이런 영화 보여주면 아이들이 과학을 재미있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감독 전공이 필시 이과쪽일게야 하고 찾아봤더니 음악을 한 아저씨네. 것도 유명한 비디오 감독이었다는.

마이너인 뭔가 무게있는 아저씨인 줄 알았더니 건 <이터널 선샤인>을 공동작업한 '찰리 카우프만'의 인상으로 남겨둬얄 건가 보다.
비디오 감독이었다는 미셸 공드리의 이력을 보고 나니 영화가 그래서 그랬군 싶다.

한마디로 "상상력이 난무하는 영화" 그리고 기본적으로 "따뜻하다"
영화를 보면서 함께 꿈꿀 수 있어서, 마구 상상할 수 있어서 좋았다.

Posted by JulieNJulia
:
John Battell의 Did You Mean Googe? 란 제목의 포스팅

몬소린가 해서 봤더니 구글 로고에 'l'이 빠져 있다.
 어라, 나도 저 로고 봤는데 구글에서 실수를? 하고 봤더니 지금도 여전히 그렇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의미는 그렇다 치고, 먼저 나한테 든 생각은 난 저 로고를 보고도 그저 "Google"이겠거니 했다는 것.
지금도 대충봐도 뭐 특별히 걸리지 않는다.

이거 보니 전에 회사 게시판에 올라왔던 포스팅이 생각나네.

p.s.
쓰고 보니 비슷한 포스팅이 Techcrunch에 올라와 있다.
Google’s Valentine’s Logo Sure Looks Like “Googe”

그리고 구글 로고가 저런 까닭은 여기에

Posted by JulieNJulia
:

BLOG main image
결국은 사람 by JulieNJuli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02)
인공지능 AI (3)
read things (47)
work life (20)
검색 IT (86)
인지과학 HCI (46)
research (3)
일상다반사 (61)
마음이 울리다 (76)
그림 Drawing (1)
말, 말, 말 (32)
좋을텐데 (0)
My Digg (0)
Today's attention (9)
life log (3)
private (0)
social network (0)
영화 (3)
여행 (2)
문화생활 (0)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