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물건을 살때나 영화를 볼때 주변 사람들에게 주로 물어보는 것은 무엇인가?"
를 MIT 와 Microsoft Research(MS는 쇼핑 검색등 관련 연구에 예전부터 관심이 많은 듯)가 함께한 연구.
역시, 가장 많은 질문은 어떤 게 좋을지 추천해 달라는 질문이었다는 것.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구 참가자는 625명, 70% 이상이 Microsoft 근무자들, 27%가 인턴등으로 일하는 대학생들.
아마도 대부분 MS에서 일하는 인턴들이었 듯. 결국 내부 사람들 대상의 survey연구.
크게 힘 안 들였지만, 아이디어와 타이밍이 참 좋은 연구.
(Jaime Teevan은 참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연구를 한단 말이지. 부럽게.. MS에 있어서일까 그녀 자신의 능력일까 MS에 함께 있는 Suman Dumais의 후광일까...)

센스 있게도, 연구 주제에 걸맞게 참가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경향(현황?)을 함께 조사하였다. 98%가 페이스 북 계정을 가지고 있었고, 71%가 트위터 계정을, 그리고 평균 209명의 페이스 북 친구들을 가지고 있었다(미국은 정말 페이스북 인기가 하늘을 찌르나 보다.)

이런 방향의 연구야말로 소셜 네트워크나 소셜 서치(소셜검색) 관련해서 진정으로 필요한 연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재밌었다.
그러나 참가자 표본의 다양성이 연구 결과에 신뢰를 더욱 확보해 줄 것 같네.

원문: http://gigaom.com/2010/02/22/what-do-people-ask-their-social-networks/
Posted by JulieNJulia
:

출근길 "사이먼 & 카너먼" 아주 재밌게 읽다 왔다.
가볍게 읽기 좋고 잘 썼다. 간만에 읽은 인지과학 관련 서적...
이렇게 사람 위주 얘기가 난 잼있더라.

의사결정이나 인지과학 관심있는 일반인들에게 추천.
학구적이지 않고, 사람위주로.. 적당히 잼있게 지식 충전도 하면서 읽을수 있다.

사이먼 & 카너먼
카테고리 시/에세이
지은이 안서원 (김영사, 2006년)
상세보기

Posted by JulieNJulia
:
  • 나’의 의지인가 ‘뇌’의 명령인가
    • 인간의 결정 10초전 뇌가 먼저 반응했다는 연구
      신경과학 연구 관련된 내 생각은 아직 우리는 생리적인 반응만을 재는 수준이라는 것. 그 이전의 반응은 measure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Posted by JulieNJulia
:
퇴근후 TV를 틀었더니 "TV, 책을 말하다" 에서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라는 책을 소개하는 중.
프루스트에다가 신경과학자라니.. 확 꽂혔댜.
프로그램 부제가 "과학과 예술의 만남"이었던 듯.
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과학과 예술의 만남.
확실히 뭔가 전체적인 뷰가 트렌트가 되는 듯.
"과학"이 키워드가 되어 가는 듯도 하고.

이 프로 지난번에도 흥미로운 책을 소개하더니...
마음에 든다. "TV, 책을 말하다" 앞으론 종종 챙겨봐야지.
그리고 책 keep list 에 추가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상세보기
조나 레러 지음 | 지호 펴냄
과학과 예술의 단절을 넘어 제3의 문화로 예술가들이 찾아낸 신경과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이 책은 휘트먼과 엘리엇, 프루스트와 세잔, 스타인 등 예술과 문학계의 저명인사 8명의 작품속에 나타난 뇌와 신경의 비밀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작가들이 자신들만의 자기 성찰로 인간 마음의 신비를 파악하고 그들이 펼친 예술을 신경과학의 용어로 분석하면서 인문과 과학이 어떻게 교류하는 것이
Posted by JulieNJulia
:
이정모 교수님의 경제학회 발표 내용.
http://korcogsci.blogspot.com/2008/02/2008.html

처음 인지과학에  들어가 주제를 잡을때
embodied cognition, distributed cognition 에 호기심을 가졌었다.
그때는 너무나 뜬구름 잡는 얘기라 서베이 하다가 좀 더 구체적인 주제로 옮겨갔었는데

이정모 교수님 요약 내용에서 "embodied cognition" 개념을 보니 반갑다.
지금은 어느 정도로 발전해 있을지 궁금하네.

인지과학과 경제학에 있어서는
"Tversky & Kahneman 등의 판단과 결정에서의 heuristics & biases 연구"가 흥미로운 편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던 결정에 있어서 인간의 비합리성을 밝혀낸(?) 카네만의 연구는 인지과학적 입장에서 참 재미있는 연구.

그래서 한때 판단과 의사결정 분야에서도 연구주제를 찾아보려 했던 기억도 나네--;

요새는 인지과학과 경제학을 연결하자면
"게임이론"이나 "진화게임"이 재미있는 것 같다.
복잡계랑 살짝 연결되는데..

지난학기에 들었던 "복잡계 특강"에서 최정규 교수님을 통해 접했던 "게임이론"
궁금한 사람들에게는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란 책을 추천한다.
이타적 인간의 출현 상세보기
최정규 지음 | 뿌리와이파리 펴냄
죄수의 딜레마를 넘어, 게임이론의 최신 성과로 풀어낸 이타적 인간, 그 생존에 얽힌 비밀!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표현되는 '합리적 인간'이란 이기적 인간에 다름 아니다. 과연 인간은 이기적이기만 한 존재일 뿐인가? 저 따뜻한 손길과 마음을 가진 존재들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이기적 유전자> <이타적 유전자>로 대표되는 혈연선택가설, 반복-호혜성가설 등 기존 가설들이 설명하지 못했던 빈 부분을 대안이
Posted by JulieNJulia
:
국가가 주도해야 할 6大 미래기술에  "인지과학"이 들어갔다.
인지과학을 공부하는 인지과학도로서 반가운 소식.

미래융합기술에 외국에는 인지과학이 포함되었는데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아서 문제라는
이정모 교수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이제 우리나라도 슬슬 인지과학에 대한 인식이 좀 깨여갈라나.

6대 미래기술은
지능형 인프라 , 바이오제약 ,  청정에너지 , 군(軍) 무인화 ,  나노소재 , 인지과학


Posted by JulieNJulia
:

인간에 대한 지식이 인간을 변화시키지는 못할 것이다.
Edge의 존브룩만이 엮어서 낸 이시대 석학들의 "위험한 생각들" 중 하나.
제목이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가장 먼저 본 챕터이다.
(보고 나니 주변의 챕터들도 흥미로운 것들이 많네)

이 위험한 생각의 저자는 베리 스미스라는  영국의 철학 교수.
인간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내었다 해도 "인간의 정신"때문에 결코 인간을 완전히 안다고 할 수 없을 거라는 것. "인간의 정신"은 그렇게 갇히지 않을 것이라는 것.

그래. 철학이라면.. 고개가 끄덕여 진다.
그러나 내가 믿는 믿음은 더 나아지기 위한 지식이다. 그래서 우리가 살아가는 데 좀 더 도움이 되기 위한. 어쩌면 본능적인 자신의 존재에 대한 호기심.

오늘날 우리가 맞닥뜨린 가장 큰 도전은, 우리가 사고하는 능력과 상상하는 능력 우리의 생각을 드러내고 알리는 능력-이것들을 통해 우리는 과학을 탐구하고 이론을 설계한다-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초자연주의에 대한 과학의 최종적인 승리는, 인간이 가진 의식의 본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때 완성될 것이다. 인지과학과 뇌과학은 이를 위해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만족할만한 완전한 이론을 얻기까지는 아직도 먼길을 가야 할 것이다.
우리가 인간의 사고와 이성에 관한 이론, 지각이나 의식에 관한 이론을 - 자연이나 생물학의 다른 이론들과 모순되지 않는 방식으로-만드는데 성공했다고 치자.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우리 자신과 관려내서 그동한 간직해왔던 상식적인 개념들-인간으로서의 우리,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존재로서의 우리, 무엇을 하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자유롭게 결정하는 존재로서의 우리에 관한 생각들-을 버리게 될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것을 입증하는 증거는 아주 많다.

인간으로서의 우리는, 경험의 중심이고, 자기 인식과 자유의지의 중심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믿음, 욕망, 희망, 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며, 우리가 행하고 말하는 모든것에 책임을 지는 존재라는 것을 안다.



 

Posted by JulieNJulia
: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물리학의 이론으로 설명한 책 "The Social Atom"
여기서 동영상을 볼 수 있다(슬라이드도 함께 제공되서 보기 편하다).
http://www.researchchannel.org/prog/displayevent.aspx?rID=17528&fID=4269

중간중간 지난 학기 들었던 복잡계 수업에서 접했던 사람들도 나오고,
아무래도 두 학문을 엮어서 그런건지 복잡계랑 가까워 보인다.
collective behavior도 언급되고.
이런 접점-인지과학이나 복잡계-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겐 꽤 흥미로울 동영상.
책은 이것 - The Social Atom
이건 번역 안될
라나. 요즘엔 보고 싶다 싶은 책들이 금방 번역되는 편이라.
웬지 이것도 조만간 번역되어 나오진 않을지.
Posted by JulieNJulia
:

연구에 따르면 인생의 행복지수는 U자 모양라고 한다.
즉 젊을때 행복하다가 중년(mid-life)에 바닥을 치고 노년기에 다시
행복감을 되찾게 된다고 한다.

그러니 40대 중반이라 할지라도 좌절할지 말지어다가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일까?
"Social Science and Medicine" 저널에 실린 연구로, 74개국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cross-cultural 연구이다.  

문화의 차이와 상관없이, 좌절감이나 우울증등이 40대를 지배하지만 50대 후반에는
다시 기쁨을 되찾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연구자는 노년에 접어들어서는 삶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덜하게 되어 행복해 지는 방법을 찾게 되는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행복감은 인생 전반적으로 일정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74개국 사람들을 연구한 것도 대단하고, longitunal한 연구인지도 궁금.. 설마?

원문은 여기


Posted by JulieNJulia
:

한자리에서 뵙기 힘든 강연하시는 교수님들 보고,
있던 스케쥴때매 살짝 고민하다 취소하고 참석. 그러길 너무 잘했던 보람 넘치는 심포지엄이었다.
지식과 웃음과 감동.
교수님들을 비롯 여러사람들 그리고 나자신 또한 인지과학에 대한 애정을 확인하고 다시 한번 되새기고 뜨거운 가슴으로 자리를 뜨다.
얼마만에 또 이런 자리였는지 모르겠다.

비록 지금은 과도기라 쉽잖은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이렇게 조금씩 인지과학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있다는 생각.
앞으론 좋아지리라는 확신이 들었다.
자세한 강연 내용은 나중에 정리하고..

컴퓨터 베이스로 인지과학을 하고 있는 내가 인지과학의 미래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 숙제.

Posted by JulieNJulia
:

BLOG main image
결국은 사람 by JulieNJuli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02)
인공지능 AI (3)
read things (47)
work life (20)
검색 IT (86)
인지과학 HCI (46)
research (3)
일상다반사 (61)
마음이 울리다 (76)
그림 Drawing (1)
말, 말, 말 (32)
좋을텐데 (0)
My Digg (0)
Today's attention (9)
life log (3)
private (0)
social network (0)
영화 (3)
여행 (2)
문화생활 (0)

달력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