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인지과학 까페에 들러봤다가 이정모 교수님이 올리신 방송 공지 발견.
다행히 오늘 밤이라, 놓치지 않을 수 있겠다.
아침에 정보과학 기사들 중에서 20년후… 기계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는 기사가 눈에 들어와 읽어보니  특이점이 온다 :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에 대한 책 소개였는데,

이 방송도 위의 책과 엮여있네.

재미있겠다.
아래는 이정모 교수님이 올리신 공지사항



MBC 신년특집 프로그램 : 미래

MBC에서 이번 일요일(1월 14일 23시40 - 24시40)부터 [신년특집: '미래]가 3부작으로
3주간 방영됩니다.

방송날짜는 1월 14일(일) 23:40 MBC 스페셜 시간에 1부가 나가고
                      21일(일) 같은 시간에 2부
                      28일(일) 같은 시간에 3부가 나갈 예정입니다.

전체 프로그램 제목은 '미래' 이고
                  1부, 로봇, 인간이 되다
                  2부, 사이보그라도 좋아
                  3부, 불멸
입니다.

이 특집은 NBIC 융합과학기술의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습니다.

1부는 로보틱스와 인지과학, 언어, 발달심리, 인류학적인 내용을 다루고요.
2부는 컴퓨틱스, 신경과학, 가상현실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3부는 나노와 생명과학, 그리고 마지막에 R. Kurzweil의 싱귤레러티(Singularity) 문제를 언급하구요.

이 프로그램은 MBC의 허태정 PD, 한선정 작가와 장대익 박사가 함께 기획한 것입니다.

2006년 4월부터 5개월 간 2주에 한번씩 자문기획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전문가들의 발표를 들으가며
내용을 기획하였고 3개월 여으 해외취재도 진행되고 다듬어진 결과입니다.

기획자문을 한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물철학/영장류학/진화심리학
- 장대익 박사(KAIST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 프로젝트 모더레이터
# 인지과학분야
-이정모 교수(성균관대 심리학과)
# 시스템 생물학
- 조광현 교수(서울대 의대 및 생명공학공동연구원)
# 로봇 공학
- 류범재 교수(KIST 지능로봇 연구센터)
# 신경과학
- 김대수 교수(KAIST 생명과학과)
# 나노바이오 융합과학기술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문대원 박사
# 디지털 기술과 문화의 융합
-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원장 원광연 교수:

 -3부에서 언급되는 싱귤래러티라는 주제는 최근에 '특이점이 온다'라는 책으로 (김영사 출판) 번역된 내용인데
다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김영사 홈페이지에서
http://gimmyoung.com/bookinfo/bookinfo.html?number=1684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07/01/10/0901000000AKR20070110128000005.HTML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12/2007011200820.html
중앙일보: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kbb046&folder=197&list_id=7403589
동아일보: http://www.donga.com/fbin/output?sfrm=1&n=200701130050

이 기획으로 작년에 어느 정도 시간을 보냈었는데
시간이ㅣ 되시는 분들은 일요일 MBC 방영을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주변에 알려주세요

Posted by JulieNJulia
:

관점이동

2006. 11. 24. 11:34

다음주 발표논문 맡은게 "관점이동"에 관한 것.
재밌어 보여 선택한건데, 잠깐 훑어보니 역시나 흥미진진하다.

논문 제목은 "Recall of Previously Unrecallable Information Following a Shift in Perspective"
저자는 Anderson, Richard C.Pichert, James W.
책에는 논문의 주요 부분들만이 실려 있어서 원 논문을 찾아봤는데 오래된 논문(1978년도)이라 그런지 찾기가 쉽지않네.

구글 scholar에서 검색해 봤더니 원하는 pdf파일은 안뜨고 이 논문을 참조한 논문들이 쭈욱 뜨는데, 참조한 논문들도 흥미롭다. 눈에 들어온 몇가지는 다음의 것들..
A Cross-Cultural Perspective on Reading Comprehension
Selective Recall and Information Use in Consumer Preferences
나머지 것들도 찬찬이 살펴봐야 겠다. 근데 상당부분이 consumer psychology, behavior 관련 내용인듯.
소비자 관점에서 연구해 보니.. 뭐 그런 내용들이려나.


훑어본 본 논문의 대략 내용은 관점에 따라 정보처리가 달리되는데 그 mechanism에 관한 얘기인듯. 스토리를 어떤 사람의 관점에서 기억하느냐에 따 중요성 있는 정보가 달라진다는 건데 정확하게 무얼 살펴본건지는 자세히 읽어봐야 겠다. 논문 발표 준비하고 나서 다시 제대로 정리해서 포스팅 하기. 재밌겠다..

Posted by JulieNJulia
:

truthiness

2006. 11. 16. 11:38

Truthiness

자신이 믿고 싶은대로 믿는 성향.
동감한다. 가끔 어쩌면 자주,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는 대로 그 외는 생각도 하고 싶지 않아서 쭉 믿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내 통제력이 별로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축구경기를 보고 있을때 라던가.


어제 잠깐 읽은 "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난 이 책 제목을 "행복 마주치기"로 해석했었는데)  대목중에 눈에 들어온 건,
"통제력에 대한 믿음"   인간은 통제력이 없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보다 불행하고 무기력하다는 차원에서. 객관적으로 통제력을 인식하는 사람이 약간 과잉되게 통제력이 있음을 믿는 사람에 비해 우울하다는 부분에서 고개를 주억거렸다.
객관적인 사람은 낙천적이기 쉽지 않은게 아닐까.

B.F. 스키너가 말한 5%에 속하는 사람들은 객관적으로 상황 인식을 하는 사람들이 아닐까. 그들은 어떻게 행복감을 인식할까. intelligent한 사람들이 더 행복하게 느낄까.
포스트 읽고 살짝 엮여 든 생각^^

Posted by JulieNJulia
:
내가 인지과학에 진학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인 한국 인지과학 학생회 워크샵.
올해도 어김없이 열린다.

언제나 이 모임의 워크샵 수준과 모인 사람들의 열정에 놀라곤 한다.
고등학생에서부터 대학(원)생, 직장인, 교수님들..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다.
지방도 가지각색이다.

2004년도 워크샵이었을 거 같은데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우이동에서 열렸던, 그때 모인 사람들의 열정,
MT분위기가 실로 오랜만이기도 해서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2005년 서강대에서 열렸던 겨울 워크샵.. 현우식 선생님의 깔끔한 강의, 이정모 선생님의 열정적인 말씀.
그때 어떻게든 발을 담궈야 겠다고 결심하고 그렇게 2005년 가을학기에 연대 인지과학에 입학하게 되었다.
그리고 내가 기억하는 일들 중에 가장 잘한 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올해 주제도 역시 기대된다.


<한국인지과학학생회 2006 여름 워크샵>

● 제목: "인지과학과 의식: 인지과학의 각 분야에서 바라보는 의식"
● 일시: 2006년 8월 26일(토) 16:00
● 장소: 기쁨터 (신촌에서 버스로 20분 거리, 자세한 교통편은 아래 참조)
● 프로그램 (시간과 발표순서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0. 15:30~16:00: 접수


1. 16:00~17:00: "복잡계 과학에서 바라본 의식", 정재승, KAIST 바이오시스템학과
2. 17:00~18:00: "인공지능에서 바라본 의식", 박충식, 영동대 컴퓨터공학과
3. 18:00~18:30: 저녁식사 및 휴식


4. 18:30~19:30: "철학에서 바라본 의식", 신상규, 숙명여대
5. 19:30~20:30: "언어학에서 바라본 의식", 이향준,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6: 20:30~21:30: "심리학과 신경과학에서 바라본 의식", 정상철, 연세대 인지과학협동과정
7. 21:30~: 뒤풀이 (맥주와 안주도 제공되며 뒤풀이는 밤새도록 계속됩니다.^^)

● 참가비(자료집 및 저녁식사비 포함)

- 사전등록 : 10,000원(사전등록은 카페 좌측의 사전등록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현장등록 : 12,000원

* 워크샵 장소인 기쁨터에 대해 궁금하시다고요? 그렇다면 이 곳을 방문해 주세요^^(http://www.joyplace.org/). 서울 근교에는 기쁨터 소유의 몇몇 장소와 건물이 있는데 워크샵이 열리는 곳은 항공대 근처 화전이라는 곳입니다. 이 곳은 숲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곳인데 밤새워 이야기를 하다가 피곤하면 잠을 잘 수 있는 펜션도 있습니다. 물론 워크샵날은 펜션 이용도 공짜~!^^

게다가 신촌에서 버스(지선버스, 광역버스 모두 운행)로 20분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밤 늦게라도 집으로 돌아가고 싶으시다면 얼마든지 돌아가실 수 있습니다.

* 지방에서 참가하시는 분의 경우 기차표나 버스표 영수증을 제출해 주시면 등록비를 받지 않습니다.

* 워크샵 참가를 원하시는 분은 인지과학학생회 카페(http://cafe.daum.net/cogsci)에 오셔서 꼭 사전등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워크샵관련 문의

- 회장: 김일규 (019-599-5160, 81ilkyu@naver.com)

- 부회장: 황보현진 (016-327-5879)


Posted by JulieNJulia
:

Paralyzed Man Uses Thoughts to Move a Cursor

Published: July 13, 2006

A paralyzed man with a small sensor implanted in his brain was able to control a computer, a television set and a robot using only his thoughts, scientists reported yesterday.

Rick Friedman

Matthew Nagle, left paralyzed when he was stabbed five years ago, and the circle he drew on a computer screen by using only his thoughts.

Those results offer hope that in the future,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Lou Gehrig’s disease or other conditions that impair movement may be able to communicate or better control their world.

“If your brain can do it, we can tap into it,” said John P. Donoghue, a professor of neuroscience at Brown University who has led development of the system and was the senior author of a report on it being published in today’s issue of the journal Nature.

In a variety of experiments, the first person to receive the implant, Matthew Nagle, moved a cursor, opened e-mail, played a simple video game called Pong and drew a crude circle on the screen. He could change the channel or volume on a television set, move a robot arm somewhat, and open and close a prosthetic hand.

Although his cursor control was sometimes wobbly, the basic movements were not hard to learn.

“I pretty much had that mastered in four days,” Mr. Nagle, 26, said in a telephone interview from the New England Sinai Hospital and Rehabilitation Center in Stoughton, Mass. He said the implant did not cause any pain.

Mr. Nagle, a former high school football star in Weymouth, Mass., was paralyzed below the shoulders after being stabbed in the neck during a melee at a beach in July 2001. He said he had not been involved in starting the brawl and did not even know what had sparked it. The man who stabbed him is now serving 10 years in prison, he said.

Implants like the one he received had previously worked in monkeys. There have also been some tests of a simpler sensor implant in people, as well as systems using electrodes outside the scalp. And Mr. Nagle has talked before about his experience.

But the paper in Nature is the first peer-reviewed publication of an experiment in people with a more sophisticated implant, able to monitor many more brain neurons than earlier devices. The paper helps “shift the notion of such ‘implantable neuromotor prosthetics’ from science fiction towards reality,” Stephen H. Scott, professor of anatomy and cell biology at Queen’s University in Ontario, wrote in a commentary in the journal.

The sensor measures 4 millimeters by 4 millimeters — less than a fifth of an inch long and wide — and contains 100 tiny electrodes. The device was implanted in the area of Mr. Nagle’s motor cortex responsible for arm movement and was connected to a pedestal that protruded from the top of his skull.

When the device was to be used, technicians plugged a cable connected to a computer into the pedestal. So Mr. Nagle was directly wired to a computer, somewhat like a character in the “Matrix” movies.

Mr. Nagle would then imagine moving his arm to hit various targets. The implanted sensor eavesdropped on the electrical signals emitted by neurons in his motor cortex as they controlled the imaginary arm movement.

Obstacles must be overcome, though, before brain implants become practical. For one thing, the electrodes’ ability to detect brain signals begins to deteriorate after several months, for reasons not ful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implant would ideally transmit signals wirelessly out of the brain, doing away with the permanent hole in the head and the accompanying risk of infection. Further, the testing involving Mr. Nagle required recalibration of the system each day, a task that took technicians about half an hour.

Still, scientists said the study wa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showed that the neurons in Mr. Nagle’s motor cortex were still active years after they had last had a role to play in moving his arms.

The implant system, known as the BrainGate, is being developed by Cyberkinetics Neurotechnology Systems Inc. of Foxborough, Mass. The company is now testing the system in three other people, who remain anonymous: one with a spinal cord injury, one with Lou Gehrig’s disease and one who had a brain stem stroke.

Timothy R. Surgenor,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said Cyberkinetics hoped to have an implant approved for marketing as early as 2008 or 2009. Dr. Donoghue, the chief developer, is co-founder and chief scientist of Cyberkinetics. Some of the paper’s other authors work at the company, while still others are from academic or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Like his performance in other tasks, Mr. Nagle’s control of the computer cursor was not particularly smooth. When his goal was to guide the cursor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to a target on the perimeter, he hit the target 73 to 95 percent of the time. When he did, it took 2.5 seconds on average, but sometimes much longer. And the second patient tested with the implant had worse control than he, the paper said.

By contrast, healthy people moving the cursor by hand hit the target almost every time, and in only one second.

Dr. Jonathan R. Wolpaw, a researcher at the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said the BrainGate performance did not appear to be substantially better than that of a noninvasive system he is developing using electroencephalography, in which electrodes are placed outside the scalp.

“If you are going to have something implanted into your brain,” Dr. Wolpaw said, “you’d probably want it to be a lot better.”

Dr. Donoghue and other proponents of the implants say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a lot better, because they are much closer to the relevant neurons than are the scalp electrodes, which get signals from millions of neurons all over the brain.

One way to improve implant performance was suggested by another paper in the same issue of Nature. In a study involving monkeys, Krishna V. Shenoy and colleagues at Stanford University eavesdropped not on the neurons controlling arm movement but on those expressing the intention to move, which occurs earlier and would make the system work faster.

“Instead of sliding the cursor out to the target, we can just predict which target would be hit and the cursor simply leaps there,” said Dr. Shenoy, an assistant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neurosciences. He said the system could operate at the equivalent of typing 15 words a minute, about four times as fast as the devices produced by Cyberkinetics and Dr. Wolpaw.

After more than a year, Mr. Nagle had his implant removed so he could undergo another operation, which allowed him to breathe without a ventilator. He can control a computer by voice, so he does not really need the implant. But he said he was happy he had volunteered for the experiment.

“It gave a lot of people hope,” he said.

Posted by JulieNJulia
:

인지과학 석학들 모음 페이지

http://carbon.cudenver.edu/~mryder/itc/cogsci.html

Posted by JulieNJulia
:
 
박창호†, 곽호완‡, 김영진#, 이종구*, 이건효*, 성경제*, 이정모*

†전북대 심리학과, ‡경북대 심리학과, #아주대 심리학과, *성균관대 산업심리학과

인터넷에서 정보검색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나, 검색엔진은 그다지 편리하지도 효율적이지도 못하다. 이는 기존의 검색엔진이 인간 인지의 특성을 잘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인 패턴 짝짓기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이다. 검색엔진과 인간 인지간의 개념적인 차이 및 인간의 정보검색 전략, 특성 등을 연구함으로써 이에 어울리는 지적인 검색엔진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연구는 실험 참가자가 인터넷에서 정보검색 문제를 직접 풀면서, 동시에 사고 과정을 말로 표현하게 (think aloud) 한다. 이때 실제의 검색과정에 대한 자기보고 (protocol)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실제의 정보검색의 학습과정을 추적하고 정보검색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Posted by JulieNJulia
:
이정모 교수님 글 요약

Toronto 대학의 Craik  : "Level of Processing"

 어떠한 input된 자극의 기억이란 그 자극에 가하여진 정보처리의 수준 또는 깊이가 깊을수록 그 자극은 더 잘 기억된다는 것

 - 하위수준 :  시각형태적 분석수준

 - 중간수준 :  의미적 분석수준

 - 상위 수준: ?

 ex. 언어의 기억 실험

<=> 반론 : 

우리는 단순히 그 자극의 시각적  또는 음성,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만 그 자극을 처리하여 기억하는 경우는 극히 적거나 없으며 거의 모든 경우에 자극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 기억한다는 것 

 ex. 산문(Prose 또는 text)의 이해와 기억의 연구에서 주로 제기

...

기억에서의 정보처리의 깊이의 차이와 그 작용기에 대한 이상의 논의는 기억을 정체된 의식내용이라기 보다는 본질적으로 역동적으로 환경자극에서 의미를 찾아 구하는 의미에의 노력(Effort after meaning)의 활동으로 본 것이며 대상 자극에 대한 「앎」 또는 「이해」를 결정하는 인지과정의 주축으로 본 것이다. 즉, 자극대상을 기억해 넣을 때나 기억해 낼 때나 우리는 항상 능동적으로 자극에 대한 각종 의미정보를 짜내어 넣고 또 짜내어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

 

 

 

 

Posted by JulieNJulia
:
http://ktla.trb.com/news/la-me-happy3jul03,0,4880328.story?coll=ktla-news-1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잠깐 봐서는 행복과 경제성은 양립하기 힘들다는 얘기가 좀 있었고.
내가 좋아하는 미하이 칙센트마하이의 얘기가 잠깐 나왔고
마지막 행복의 비밀은 "기대치를 낮춰라"라는 것.

 
Posted by JulieNJulia
:

인지과학은

2006. 3. 23. 13:45
이정모 교수님 曰

인지과학은
가장 강한 지적 도전을 갖다 주며, 또 알아가며 어느 학문보다도 점점 더욱더  넓어져가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흥미진진한 몰입의 지적 흥분을 가져다 주는, 그러면서도 바로 실생활에 응용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사람들을 위한 무엇을 할 수 있는 탄력적인 實學적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는 종합적 과학이라고 하겠다.
Posted by JulieNJulia
:

BLOG main image
결국은 사람 by JulieNJuli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02)
인공지능 AI (3)
read things (47)
work life (20)
검색 IT (86)
인지과학 HCI (46)
research (3)
일상다반사 (61)
마음이 울리다 (76)
그림 Drawing (1)
말, 말, 말 (32)
좋을텐데 (0)
My Digg (0)
Today's attention (9)
life log (3)
private (0)
social network (0)
영화 (3)
여행 (2)
문화생활 (0)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