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을 디폴트로 노출해 줄것이냐 말것이냐에 대한 의견이라면.
난 디폴트 노출에 한표!

댓글은 손쉽고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이라 볼 수 있다.
난 뉴스을 보면 댓글을 거의 읽어보는편이고, 댓글이 없으면 실망하는 편.
물론 bias가 있겠지만. 디폴트 노출은 어느 관점에서 바라보냐이고,
난 디폴트 노출에 한표이다.

Posted by JulieNJulia
:

소통을 위한 집중

2008. 3. 10. 22:35
집중하게 만들고
소통하게 만들어라

집중만 하는 환경이어서도
소통만 하는 환경이어서도 안된다.

소통을 위한 집중

(하루종일 회의에 시달리다가 저녁먹고 조용히 틀어박혀 있다가 문득 든 생각)
Posted by JulieNJulia
:


개떡같이 던져도 찰떡같이 받아먹기

Posted by JulieNJulia
:
일요일 아침.
동생을 잠실역에 내려주고 나온김에 커피 전문점으로 향했다.
일요일 아침 9시에 문 연 커피점이 어디에 있으려나
자주 가던 강남역 커피점 한곳에 들러보았더니 오픈전.
포기하고 집으로 향하던 차에 논현 부근에서 열린 커피점 발견.

주차해 놓고 노트북을 펴고 앉다.
마음이 편안하다.
가끔. 커피점이 집보다 마음이 편할 때가 있다.
(주로 할거리들이 많을때.. 집에선 자꾸 늘어져서 하지 않고 늘어지는 불편함 때문)

거기에 일요일 아침이 더하는 여유로움.
일요일 오후랑은 또 다른 기분이다.

p.s. 한 일주일 동안 어딘가에 틀어박혀 원고나 마무리 했음 좋겠다.
그럼 이 압박감이 즐거움으로 바뀔텐데.
즐길수 있는 작업이나 시간의 압박감이 주는 괴로움.
Posted by JulieNJulia
:
이정모 교수님의 경제학회 발표 내용.
http://korcogsci.blogspot.com/2008/02/2008.html

처음 인지과학에  들어가 주제를 잡을때
embodied cognition, distributed cognition 에 호기심을 가졌었다.
그때는 너무나 뜬구름 잡는 얘기라 서베이 하다가 좀 더 구체적인 주제로 옮겨갔었는데

이정모 교수님 요약 내용에서 "embodied cognition" 개념을 보니 반갑다.
지금은 어느 정도로 발전해 있을지 궁금하네.

인지과학과 경제학에 있어서는
"Tversky & Kahneman 등의 판단과 결정에서의 heuristics & biases 연구"가 흥미로운 편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던 결정에 있어서 인간의 비합리성을 밝혀낸(?) 카네만의 연구는 인지과학적 입장에서 참 재미있는 연구.

그래서 한때 판단과 의사결정 분야에서도 연구주제를 찾아보려 했던 기억도 나네--;

요새는 인지과학과 경제학을 연결하자면
"게임이론"이나 "진화게임"이 재미있는 것 같다.
복잡계랑 살짝 연결되는데..

지난학기에 들었던 "복잡계 특강"에서 최정규 교수님을 통해 접했던 "게임이론"
궁금한 사람들에게는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란 책을 추천한다.
이타적 인간의 출현 상세보기
최정규 지음 | 뿌리와이파리 펴냄
죄수의 딜레마를 넘어, 게임이론의 최신 성과로 풀어낸 이타적 인간, 그 생존에 얽힌 비밀!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표현되는 '합리적 인간'이란 이기적 인간에 다름 아니다. 과연 인간은 이기적이기만 한 존재일 뿐인가? 저 따뜻한 손길과 마음을 가진 존재들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이기적 유전자> <이타적 유전자>로 대표되는 혈연선택가설, 반복-호혜성가설 등 기존 가설들이 설명하지 못했던 빈 부분을 대안이
Posted by JulieNJulia
:
국가가 주도해야 할 6大 미래기술에  "인지과학"이 들어갔다.
인지과학을 공부하는 인지과학도로서 반가운 소식.

미래융합기술에 외국에는 인지과학이 포함되었는데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아서 문제라는
이정모 교수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이제 우리나라도 슬슬 인지과학에 대한 인식이 좀 깨여갈라나.

6대 미래기술은
지능형 인프라 , 바이오제약 ,  청정에너지 , 군(軍) 무인화 ,  나노소재 , 인지과학


Posted by JulieNJulia
:

이번 CHI 학회 주제는 Social Data Analysis 인가 보다.
재밌겠다. 가고 싶네
Social Data Analysis Workshop | CHI 2008

Goals
This workshop aims to:
1) Bring together the community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focused on social data analysis
2) Examine the design of social data analysis sites today
3) Discuss the role that visualizations play in social data analysis
4) Explore the different ways users are utilizing the various social data analysis sites to date

Posted by JulieNJulia
:
교수님과 작업중인 책 원고 데드라인 때문에
커피를 리필해 가며 커피샵에서 원고 작성중
(내 평생 커피 리필하면서 커피샵에서 버티는 것도 처음이지 싶네)

아는 유부녀 언니로 부터 걸려온 전화.

"어디냐"

"커피전문점"

"부럽다 싱글"

"그게..."

데드라인에 쫓기는 나는, 이시간 놀 수 있는 사람들이 부러웠지만.

어떻게 보면 아이와 가족을 돌봐야 하는 언니입장에서는
나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내가 부러웠는지도 모르겠다 싶어 변명하려던 말을 그만두었다.
 
각자의 입장. 여러가지 상황.
놀 수 없다고 한탄하지 말고 즐길지어다.
가 답일지도.
Posted by JulieNJulia
:

이러니 저러니 해도
학회는 학회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올해 학회는 질이 어떠니, 낮니 높니 해도
학회란 곳 또한 오프라인의 소통의 장.

같은 관심사의  넓은 바운더리에서의 사람들의 행보를 보고
아직 구체적인 결과물이 나온 건 아니더라도
그래도 현재 다들 현재에 치여서 삽질만 하고 있는 건 아니라는 것,
최소한 봐야 하는 걸 고민은 하고 있다는 것.
그런 희망을 보고 온다.

그런게 중요한 거 아니겠냐고 생각한다.

Posted by JulieNJulia
:
지난주 참석한 올해 KHCI학회
회사일로 발표가 있었던 마지막 날만 간신히 참석했다.

발표한 내용은
"CSCW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이 집합적 창조성에 미치는 인지적 영향"

지난 학기에 진행한 팀블로그 연구이다.
제목이 좀 어려운 감이 있는데, 댓글을 통한 사용자 상호작용과 UCC 컨텐츠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팀블로그 도메인으로 설문조사방법으로 연구한 것이다.
많이 허접하지만 그런 과정을 통해 좀 더 나아가는 거지. 라고 자기 위안--;
여튼 이번기회에 "팀블로그"에 매력을 느꼈고 이번 연구를 기회로 계속 팀블로그를 기반으로 집단지성을 연구해 볼 계획도 세우고 되었다.

작년 10~12월 주말의 빡빡함에 이것도 한 몫.
쪼임당하느라 괴롭기도 했었는데,
설문과정 중에 생면부지의 연구원에게 선뜻 설문해 주시겠다는 팀블로거분들 답메일 받을때마다 심지어 행복한 기분도 느꼈었다. (살짝 오버하면 이게 웹2.0 정신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는)

지금 이걸 책 버전으로 쓰느라고 또 요새 괴로운 즈음.
언제나 양면이 있다.
시간을 쪼개야 하고 데드라인이 있어 괴로움과 새로운 작업을 경험함에 있어의 즐거움.

언제나 한다는 데 의의를 두고, 다음번엔 이걸 기반으로 더 나아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위안하기.쩝.

Posted by JulieNJulia
:

BLOG main image
결국은 사람 by JulieNJuli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02)
인공지능 AI (3)
read things (47)
work life (20)
검색 IT (86)
인지과학 HCI (46)
research (3)
일상다반사 (61)
마음이 울리다 (76)
그림 Drawing (1)
말, 말, 말 (32)
좋을텐데 (0)
My Digg (0)
Today's attention (9)
life log (3)
private (0)
social network (0)
영화 (3)
여행 (2)
문화생활 (0)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