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모 교수님 글 요약

Toronto 대학의 Craik  : "Level of Processing"

 어떠한 input된 자극의 기억이란 그 자극에 가하여진 정보처리의 수준 또는 깊이가 깊을수록 그 자극은 더 잘 기억된다는 것

 - 하위수준 :  시각형태적 분석수준

 - 중간수준 :  의미적 분석수준

 - 상위 수준: ?

 ex. 언어의 기억 실험

<=> 반론 : 

우리는 단순히 그 자극의 시각적  또는 음성,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만 그 자극을 처리하여 기억하는 경우는 극히 적거나 없으며 거의 모든 경우에 자극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 기억한다는 것 

 ex. 산문(Prose 또는 text)의 이해와 기억의 연구에서 주로 제기

...

기억에서의 정보처리의 깊이의 차이와 그 작용기에 대한 이상의 논의는 기억을 정체된 의식내용이라기 보다는 본질적으로 역동적으로 환경자극에서 의미를 찾아 구하는 의미에의 노력(Effort after meaning)의 활동으로 본 것이며 대상 자극에 대한 「앎」 또는 「이해」를 결정하는 인지과정의 주축으로 본 것이다. 즉, 자극대상을 기억해 넣을 때나 기억해 낼 때나 우리는 항상 능동적으로 자극에 대한 각종 의미정보를 짜내어 넣고 또 짜내어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

 

 

 

 

Posted by JulieNJulia
:
BLOG main image
결국은 사람 by JulieNJuli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02)
인공지능 AI (3)
read things (47)
work life (20)
검색 IT (86)
인지과학 HCI (46)
research (3)
일상다반사 (61)
마음이 울리다 (76)
그림 Drawing (1)
말, 말, 말 (32)
좋을텐데 (0)
My Digg (0)
Today's attention (9)
life log (3)
private (0)
social network (0)
영화 (3)
여행 (2)
문화생활 (0)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